서울시, 신속통합기획 주택재개발 후보지 8곳 추가선정
서울시, 신속통합기획 주택재개발 후보지 8곳 추가선정
- 6.30.(월) ‘25-3차 재개발 후보지 선정위원회’ 결과 신속통합기획 대상지 8곳 선정
- 시, 선정된 후보지 올해 하반기 내 신속통합기획 및 정비계획 수립 착수
- 지난 공모 미선정 지역, 사전타당성용역 등 노후불량 주택지 선정
□ 서울시는 6월 30일(월), ’25년 제3차 주택재개발사업 후보지 선정
위원회를 개최하여 후보지 8곳을 선정했다. 신속통합기획 재개발
추진구역은 이번에 선정된 구역을 포함하여 총 122곳이 됐다.
《’25년 제3차 주택재개발 후보지 선정결과(8곳)》
연번 자치구 위 치(구역명(가칭)) 용도지역 면적(㎡)
1 용산구 신창동 29-1일대 제2종(7) 16,024.5
2 구로구 구로동 466일대 제2종(7), 제2종, 제3종 63,871
3 구로구 개봉동 153-19일대 제2종(7), 제3종 27,100.2
4 도봉구 방학동 641일대 제1종, 제2종(7) 72,282.6
5 동작구 신대방동 344-132일대(신대방3) 제1종, 제2종(7), 제3종 29,461.8
6 동작구 흑석동 204-104일대(흑석10) 제1종, 제2종(7) 45,882
7 동작구 상도동 201일대(상도23) 제2종(7) 80,937
8 성북구 삼선동1가 277일대(삼선3) 제1종, 제2종(7), 제2종 56,770.6
□ 금회 후보지 선정은 주거환경개선이 시급한 지역 중에서 지난 공모
미선정 사유 해소 여부, 주민갈등 여부 및 진출입로 확보 가능 여부
등을 전반적으로 고려하여 선정하였다.
□ 용산구 신창동 29-1일대는 이전에 미선정된 지역이나, 수시 선정
등 그간 개선된 후보지 선정방식을 반영하여 재신청한 주민들의 사
업추진의지가 강한 지역으로 금회 후보지로 선정되었다. 남측에 용
산국제업무지구가 위치하여 대상지는 향후 배후 주거단지 역할을
할 것으로 기대된다.
□ 구로구 구로동 466일대는 구로차량기지 인근의 반지하주택 비율이
높은 열악한 노후 주택지이고, 개봉동 일대는 개봉3 주택
재건축 남측에 연접한 노후 저층주거지로 주거환경개선의 필요성이
인정되어 후보지로 선정되었다. 기존 추진 중인 주변 주택사업과 함
께 우수한 주택단지를 형성할 것으로 보인다.
□ 도봉구 방학동 641일대는 여러 차례 재개발 후보지에 미선정된 지
역이다. 북한산 주변 고도지구 높이완화 등 변경된 정책 반영으로
금회 후보지로 선정되어 도봉산 인근의 양질 주택단지로 거듭날 것
으로 예상된다.
□ 동작구 신대방동 344-132일대(신대방3)는 보라매공원 인근지역으
로 진출입로 요건을 충족하였으며, 흑석동 204-104일대(흑석10)
는 흑석재정비촉진지구에서 해제된 지역으로 자연경관지구 등을
고려한 건축밀도에 대한 사전타당성 용역이 진행되었다. 향후 주거환
경개선뿐만 아니라 주변의 주택사업과 연계한 기반시설이 조성될 것
으로 전망된다.
□ 동작구 상도동 201일대(상도23)는 장승배기역 인근 지역으로 호수
밀도, 반지하주택 비율이 높고 접도율이 낮은 열악한 노후 주택지로
주변 상도동 일대 신속통합기획 재개발, 모아타운과 어우러진 정주
환경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.
□ 성북구 삼선동1가 277일대(삼선3)는 삼선3 정비예정구역이 해제된
지역이다. 역사문화환경보존지역에 걸쳐있어 건축밀도에 대한 사전
타당성 용역이 진행되었다. 대상지 동측 삼선5구역 재개발사업과
함께주거환경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.
□ 후보지로 선정된 8개 구역은 올해 하반기 내에 신속통합기획 및 정
비계획 수립용역을 착수할 예정이다.
□ 아울러, 재개발 후보지의 투기방지를 위해 ‘권리산정기준일’은 구역
여건에 따라 ‘자치구청장 후보지 추천일’로 지정되며, 향후 토지거래
허가구역 및 건축허가제한도 별도 고시 등을 통해 안내될 예정이다.
□ 최진석 서울시 주택실장은 “선정된 후보지는 기반시설이 매우 열악한
노후 불량주거지로 주거환경개선이 시급한 지역이다”면서, “「2030
도시·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」을 반영하여 사업성을 대폭 개선하고
신속통합기획으로 신속한 주택공급과 더 나은 주거공간을 만들 수
있도록 행정적 지원을 다하겠다”로 밝혔다.